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혈압 합병증 2편: 심부전 – 지친 심장의 외침

by 고다요. 2025. 8. 13.
pixabay canva

 

“심장은 멈추지 않는 노동자다. 그를 지치게 하지 마라.”

※ 심부전(Heart Failure): 심장이 혈액을 충분히 펌프 하지 못하는 상태

 

심부전은 심장이 더 이상 충분한 혈액을 몸에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고혈압은 심부전의 가장 흔하고 직접적인 원인으로, 오랜 시간 동안 높은 압력에 시달린 심장은 점차 기능을 잃고 지쳐갑니다. 이로 인해 호흡곤란, 피로, 부종, 운동 능력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립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혈액을 받아들이는 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수축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합니다. 고혈압은 이러한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심장 근육을 두껍게 만들고 탄력을 잃게 하여 결국 펌프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심부전의 주요 증상

  • 숨이 차고 호흡이 어려움 (운동 시 또는 누웠을 때)
  • 발목, 종아리, 복부 등의 부종
  • 만성적인 피로감과 무기력
  • 야간 기침, 수면 중 호흡곤란
  • 소화불량, 식욕 저하, 체중 증가 또는 감소

 고혈압과 심부전의 연결고리

고혈압은 심장이 혈액을 밀어내기 위해 더 강하게 수축하도록 만들며, 이 과정에서 심장 근육이 비대해집니다. 처음에는 보상 작용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심장 벽이 두꺼워지고 뻣뻣해져 이완과 수축이 모두 어려워집니다. 결국 심장은 지치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심부전으로 이어집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고혈압 환자는 정상인보다 심부전 발생 가능성이 약 4배 높으며, 특히 좌심실 비대가 동반된 경우 예후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진단과 치료

심부전은 혈액 검사, 심전도, 흉부 X선, 심장 초음파 등을 통해 진단됩니다. 특히 심장 초음파는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는 데 핵심적인 검사입니다. 치료는 약물 요법(이뇨제,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 등)과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되어야 하며, 중증의 경우에는 기기 삽입이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심부전 예방을 위한 생활 가이드:
- 혈압을 130/80 mmHg 이하로 유지
- 저염식, 저지방 식단 실천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 금연 및 절주
- 스트레스 관리와 충분한 수면

 

서울대학교병원 심부전 정보
질병관리청 고혈압심장질환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