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7

고혈압과 신경계 — 교감·부교감의 균형이 무너질 때 인간의 혈압은 단순히 심장의 펌프 작용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그 뒤에는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라는 정교한 제어 장치가 있습니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균형을 이루며 심박수, 혈관 수축,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지만 이 균형이 무너질 때 혈압은 조용히 상승하기 시작합니다.한문 표현: 神亂則脈逆(신란즉맥역) — 정신이 혼란하면 맥이 거슬린다. 마음의 긴장이 곧 혈관의 긴장으로 이어진다는 뜻입니다.1. 자율신경계의 역할과 혈압 조절자율신경계는 의식적으로 통제되지 않는 생리 기능을 조절합니다. 교감신경은 ‘가속 페달’, 부교감신경은 ‘브레이크’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불면, 불안이 지속되면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혈관이 수축하고 심박수가 증가하며, 이 상태가.. 2025. 10. 10.
고혈압과 수면 호르몬 — 멜라토닌이 만드는 야간 혈압 리듬 고혈압과 수면 호르몬 — 멜라토닌이 만드는 야간 혈압 리듬밤이 되면 우리 몸은 자연스럽게 혈압이 내려가야 합니다. 그러나 현대인의 불규칙한 수면, 인공조명, 야근은 이 리듬을 깨뜨립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수면 호르몬 멜라토닌(Melatonin)이 있습니다. 멜라토닌은 단순히 ‘잠을 부르는 호르몬’이 아니라, 혈압의 야간 리듬을 조절하는 핵심 생체시계 조절자입니다.한문 표현: 夜靜則氣和(야정즉기화) — 밤이 고요하면 기운이 조화롭다. 충분한 수면은 곧 혈압의 평형으로 이어진다는 뜻입니다.1. 멜라토닌과 혈압의 생리학적 관계멜라토닌은 송과선(pineal gland)에서 분비되며, 체내 생체리듬(circadian rhythm)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호르몬이 분비될 때 혈관이 이완되고, 교감신경 활동.. 2025. 10. 9.
고혈압과 호르몬 — 코르티솔, 아드레날린이 만드는 압력의 게임 혈압은 단순한 수치의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의 몸속에서는 호르몬(hormone)이라는 보이지 않는 지휘자가 끊임없이 혈관을 수축하거나 이완시키며, 그 균형을 통해 혈압이 유지됩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코르티솔(Cortisol)과 아드레날린(Adrenaline)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혈압 조절 체계를 무너뜨립니다.한문 표현: 氣逆則壓升(기역즉압승) — 기운이 거슬리면 압이 오른다. 마음의 흐름이 막히면 몸의 압력 또한 높아진다는 뜻입니다.1. 코르티솔 — 만성 스트레스의 그림자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원래는 위기 상황에서 에너지 동원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호르몬이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면 인슐린 저항성, 나트륨 저류, 혈관 수축을 유도하여 결국 고혈.. 2025. 10. 8.
고혈압과 장내 미생물 — 마이크로바이옴이 혈압을 바꾸는 법칙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혈압은 혈관뿐 아니라 장(腸, gut)과도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인간의 장 속에는 약 100조 개의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이 만들어내는 대사산물은 혈관의 탄성과 염증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즉,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 혈압을 조절하는 또 하나의 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한문 표현: 腸通則氣順(장통즉기순) — 장이 통하면 기가 순하다. 장내 환경이 바로 서야 혈압과 순환도 안정된다는 의미입니다. 1. 장내 미생물과 혈압의 연결장내 미생물은 음식 속 탄수화물과 식이섬유를 분해하여 단쇄지방산(SCFA, Short-Chain Fatty Acids)을 생성합니다. 대표적으로 부티르산(Butyrate), 아세트산(Acetate), 프로피온산(Propionate).. 2025. 10. 7.
고혈압과 산화 스트레스 — 세포 노화의 가속 엔진 고혈압의 근저에는 보이지 않는 세포 수준의 불균형, 즉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활성산소(ROS)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세포막, 단백질, DNA를 손상시키며, 혈관의 탄성을 잃게 하고 노화를 가속시킵니다. 산화 스트레스는 단순한 부산물이 아니라, 고혈압의 “가속 엔진(accelerator of aging)”이라 할 수 있습니다.한문 표현: 氣過則損(기과즉손) — 기운이 지나치면 손상을 낳는다. 세포의 에너지도 과하면 산화되어 몸을 해친다는 의미입니다.1. 산화 스트레스란 무엇인가산화 스트레스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항산화 시스템 간의 불균형으로 발생합니다. 정상 상태에서는 ROS가 면역 방어와 신호 조절에 쓰.. 2025. 10. 6.
고혈압과 대사증후군 — 인슐린 저항성과의 악순환 고혈압은 단독 질환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현대인의 식습관, 운동 부족, 복부 비만이 함께할 때, 대사증후군(代謝症候群, Metabolic Syndrome)이라는 복합적 질환으로 발전합니다. 이 대사 불균형의 중심에는 바로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이 있습니다.한문 표현: 氣滯血瘀(기체혈어) — 에너지와 혈류가 정체되면 질병이 생긴다. 대사증후군의 본질을 설명하는 한의학적 표현입니다.1. 대사증후군이란?대사증후군은 다음 5가지 요소 중 3가지 이상을 만족할 때 진단됩니다:복부비만 (허리둘레 남 90cm·여 85cm 이상)고중성지방혈증 (150mg/dL 이상)낮은 HDL 콜레스테롤고혈압 (≥130/85mmHg)공복혈당 ≥100mg/dL이러한 조합은 혈관 내피 손상, 염증 반응, 산화.. 2025. 10. 5.